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태백 가볼만한곳-철암탄광역사촌 Cheolam Coal Mine History Town

by 정보1spoon 2019. 6. 14.

  • adrress: 강원 태백시 철암동 366-46 (366-46 in Cheolam-dong, Taebaek, Gangwon-do)
  • 매일 10:00 - 17:00(매월 1,3주 월요일 휴관) 
  • call: 033-582-8070 
  • Every day open between 10:00 and 17:00 (closed on Monday, every first week and third week of the month)

 

광업이 활황이던 1960~1970년대 철암은 석탄 산업의 중심지였다.

당시 탄광촌은 동네 개도 만 원짜리 지폐를 물고 다닌다고 할 만큼 번성했다.

하지만 석탄 산업이 쇠퇴하기 시작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곳을 떠낫고 태백의 경제는 점차 쇠퇴하였다.

국내 최초의 무연탄 선탄시설이자 우리나라 석탄 산업의 상징이었던 철암역두선탄장과 탄광촌의 주거시설로 이용되었던 까치발건물을 전시공간으로 재탄생시킨 것이 바로 지금의 철암탄광역사촌이다.

Cheolam was the center of the coal industry in the 1960s and 1970s when mining was booming.

At that time, coal mining villages thrived to the point where local dogs carried 10,000 won bills.

However, as the coal industry began to decline, most people left and Taebaek's economy gradually declined.

철암탄광역사촌은 그 당시의 거리를 모습을 그대로 볼수있으며 몇몇 건물내부에는 다음과 같이 역사적 설명이나 전시품을 볼수있다.

The Cheoram Coal Mine History Town can see the streets of the time and some buildings can see historical explanations or exhibits as follows.

우리는 처음에 안내도를 보지 못해서 거꾸로 탐방했는데 안내도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한양다방 전 농협건물이 있었다.

그곳에는 파독광부와 파독간호사에 대한 전시물이 있었다.

파독광부란 1963년부터 1980년까지 실업문제 해소와 외화획득을 위해 한국정부에서 당시 서독에 파견한 7,900여 명의 광부를 뜻한다.

1961년 탄광노무자 파견에 관한 신문기사가 처음 보도된 이후에 1963년 4월 한국대사관이 독일 광산 측에 한국 광부 파견을 요청 하는 서신을 보냈다.

독일 측은 일본 광부들과 동일한 조건으로 파견을 원한다면 한국인 광부를 고용할 용의가 있다고 답변했고 그 해 한국광부 파견에 관한 한-독 협정서가 체결됬다.

해외개발공사와 노동청에서 파독광부를 신문, 뉴스를 통해서 공개 모집하여 선발하였다.

1963년 최초로 파독광부 500명 모집에 전국에서 4만6000명이 응모하였고 100:1에 육박하는 경쟁률을 보였다.

선발과정은 필기시험,면접,신체검사를 거쳐 선발했다.

We didn't see the map at first, so we looked in reverse order.

There was a former Nonghyup building before Hanyang Dabang, although it is not listed on the information chart.

There were exhibits about miner and nurse sent to Germany.

The above pictures are actually donated items from miners and nurses.

You can see the German currency, tools, and passports of that time.

South Korea sent some 7,900 miners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then West Germany from 1963 to 1980 in an effort to tackle unemployment and acquire foreign currency.

Since the newspaper article on the dispatch of coal miners was first reported in 1961, the Korean Embassy sent a letter in April 1963 requesting the German mine to send Korean miners.

Germany responded that it would be willing to hire a Korean miner if it wanted to send them on the same terms as the Japanese miners, and that year the Korea-Germany agreement was signed.

The Overseas Development Corporation and the Korea Labor Administration selected miners through newspaper and news.

For the first time in 1963, 46,000 people from all over the country applied for the recruitment of 500 workers for the Paddock Mines, and the competition rate was close to 100:1.
The selection process was selected after a written test, an interview, and a physical.

철암탄광역사촌 그 당시의 건물들을 그대로 볼수있는 아주 매력있는 곳이다.

하지만 몇몇 건물들은 실제로 거주하거나 장사를 하고있으니 주의하여야한다.

위에 표시된 화살표가 있는 건물만 들어갈수있으니 이표시를 보고 들어가면 된다.

Cheolam Coal Mine History Town is a very attractive place to look at the buildings of the time.
However, some buildings are actually living or doing business, so be careful.
You can only enter the building with the arrow above, so you need to look at this sign.

어릴적 집에서 한번쯤은 보았을 문양

A table pattern that had been in one's house as a child.

리얼 쿵푸

Real Kung Fu

 

사실 우리는 철암탄광역사촌을 방문하지 않으려고했다.

왜냐하면 인터넷으로 검색했을때는 그냥 사진만 몇번 찍고 가는 가벼운 관광지라고 생각했기때문이다.

하지만 석탄박물관을 재밋게 관람하여서 한번 방문해보았는데 유익한 정보들도 많고 재미있었다.

In fact, we tried not to visit the Cheolam Coal Mine History Town.
Because when I searched on the Internet, I thought it was a light tourist spot where I just took a few pictures.
However, I visited the Coal Museum with lots of useful information and fun.

 

지극히 주관적인 나의평점

나의 평점: ★

아내의 평점: 

 

석탄박물관과 마찬가지로 이당시 석탄역사에 대해 흥미를 느꼇을 분들에게는 충분히 방문할만한 곳 인것 같다.

태백을 여행하면서 여러 관광지를 다녀왔지만 개인적으로 설화나 전설에 대한 여행지에서는 큰 흥미를 갖지못했다.

반면 석탄에 관한 여행지는 근현대의 실제 역사여서 인지 꽤나 흥미로웠던것같다.

 

my extremely subjective rating

my rating:★★★★★

wife's rating:★★★★★

 

Like the Coal Museum, it seems to be a good place to visit for those who would be interested in coal history at this time.
While traveling to Taebaek, I visited many tourist destinations, but I personally did not have much interest in the tourist attractions of the folktale or legend.
On the other hand, the travel destination for coal seems to be quite interesting because it is a real history of modern times.

지도 크게 보기

2019.6.14 | 지도 크게 보기 ©  NAVER Corp.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http://